원고작성 안내

한국문화인류학원고 안내

한국문화인류학 원고 작성요령

  1. 원고는 한글이나 영문으로 제출할 수 있다. 영문원고도 한글원고의 작성요령에 준하여 작성한다.
  1. 한글 원고는 ᄒᆞᆫ글로 작성해야 하며, 영문 원고는 ᄒᆞᆫ글 또는 Microsoft Word로 작성할 수 있다.
  1. 저자가 여럿인 논문의 경우, 제1저자를 반드시 밝혀야 한다.
  1. 논문의 제목, 소제목, 본문, 각주 등 원고의 모든 글의 크기는 10포인트, 줄 간격은 160%로 한다.
  1. 제목, 소제목은 앞뒤로 한 줄씩만 띄운다. 원고작성자의 소속과 직책은 이름 옆에 괄호를 치고 명기한다(학회지에서는 각 논문의 첫 쪽의 밑에 저자와 소속을 * 표시로 명기하여 출판한다).
(예) 제주 해녀의 생애이야기

한문인 (제1저자, 한국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전인류 (경제사회연구소 연구원)

1. 서론

우리는 물질하는 것을 …

  1. 연구비 출처를 명기하거나 또는 감사를 나타내는 글은 제목의 어깨에 각주 1)을 달고 각주 1)에 명기한다.
  1. 영문 원고나 영문요약에서 원고 작성자의 영문 이름은 자신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적되, 성을 앞에 적는다.
(예) Han Moon In

Han Moonin

Han Moon-In

  1. 문단을 바꿀 때 첫째 줄은 두 칸을 들여 쓰는데 원고 첫머리에 들여쓰기를 설정하여 원고 전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글의 상단에 있는 툴바의 모양 중 문단모양을 클릭하면 ‘정렬방식’은 첫 번째 것(M), ‘여백’은 좌우 모두 0, ‘줄 간격’은 160, ‘첫 줄’은 들여쓰기에 표시해 준다.
  1. 단어와 단어 사이, 문장과 문장 사이는 한 칸만 띄운다. 특히 마침표 다음에 두 칸을 띄우지 않는다.
  1. 복합명사나 복합동사는 가능하면 붙여 쓴다.
  1. 한글 원고는 한글로 쓰되 꼭 필요한 한자나 외래어는 첫 번째에 한하여 괄호 안에 넣어 함께 쓴다. 괄호와 앞의 단어 사이는 붙여 쓴다.
(예) 무교(巫敎)는

토착적인(native) 종교는

앤더슨(Anderson)은

  1. 논문 제목의 부제는 앞에 ‘:’을 달아 연결한다.
(예) 물질하는 것도 머리싸움: 제주 해녀의 생애이야기
  1. 본문 안의 소제목 번호는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한다.
(예) 1. 가족의 역할구조

1) 핵가족의 부부역할

(1) 역할의 내용

가. 농사준비

가) 벼농사준비

  1. 주(註)는 모두 각주를 사용한다.
  1. 본문 및 각주의 저술인용 표시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저자의 이름이 본문에 언급된 경우에는 그 다음에 출판 연도를 괄호 안에 제시하고, 본문에 언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름과 출판 연도를 모두 괄호 안에 제시하여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예) 한문인(1988: 20-21)의 연구에 의하면 …

… 옳다고 본다(한문인 1988: 20-21).

2)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저술을 인용하는 경우 ① 한글, ② 중국어, ③ 일본어, ④ 영어 등 비한자권 언어의 순으로 저자를 나열하고, 같은 문자를 사용하는 저자들은 연도순으로 ‘;’을 사용하여 저술을 구분한다.

(예) … 옳다고 본다(한문인 1988: 20-21, 1990: 30; 전인류·박문화 1990: 30-31; 김가람 1994: 28-154; Anderson 1976; Hong, Pak, and Jang 1988: 54-78).

3) 2인 공동저술일 경우 두 명의 이름을 모두 기재한다.

(예) … (김가람·이한결 1990). …(Kim and Lee 2010)

4) 3인 공동저술일 경우 첫 번째 인용에서는 모든 저자의 이름을 제시하고 그 다음부터는 첫 번째 저자의 이름에 ‘외’를 붙여 사용한다.

(예) … (홍새암·박찬솔·황세찬 1990). … (홍새암 외 1990).

… (Hong, Pak, and Hwang 2000). …(Hong et al. 2000).

5) 4인 이상의 공동저술일 경우 첫 번째 인용에서부터 첫 번째 저자의 이름에 ‘외’를 붙여 사용한다.

(예) …(한문인 외 2000). …(Han et al. 2000)

6) 출판예정인 저술을 인용할 때는 ‘출판예정’이라고 기재하여야 한다.

(예) …(홍새암 출판예정).

7) 재인용의 경우에는 반드시 참고문헌에 원전과 인용논저를 모두 제시해야 하며, 또한 인용 쪽수를 명기해야 한다.

(예) … 김가람(1990)은 …와 같이 말했다(박문화 2000: 30에서 재인용).

8) 인터넷 자료를 본문 중에 인용할 경우 각주를 달고, 작성자(기관명), 제목, 웹 주소, 접속일자를 밝힌다.

한국문화인류학회의 홈페이지에 나온 규정에 따르면,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한국문화인류학회,”한국문화인류학 집필요강,” http://www.koanthro.or.kr/introduce/contribution.htm (2015. 7. 15. 접속)

  1. 참고문헌의 작성은 다음과 같이 한다.

1) 참고문헌의 순서는 ① 한글, ② 중국어, ③ 일본어, ④ 비한자권 언어의 순서로 하고, 논문과 저서의 구별 없이 한글 문헌은 저자명의 가나다 순, 중국어와 일본어 문헌은 저자명 한자음의 가나다 순, 비한자권 문헌은 알파벳의 순으로 한다.

2) 참고문헌은 본문에 인용된 문헌만 표기한다. 논문은 학술지나 책 속의 쪽수를 표시한다.

3) 논문제목은 모두 “ ”, 학술지명 또는 단행본제목은 한글이나 중국어와 일본어는 『 』로 표시하며, 비한자권 학술지명 또는 단행본제목은 이탤릭체로 표시한다.

4) 같은 저자에 의한 저술을 두 편 이상 제시할 때는 출판연도가 이른 순서대로 나열한다.

5) 같은 저자에 의한 저술로서 같은 연도에 출판된 것이 두 편 이상일 때는 본문에서 인용된 순서대로 출판년도에 영문자 a, b, c 등을 부기하여 구분하고 차례대로 나열한다.

6) 저자가 2인 이상일 때는 모든 저자 이름을 기재하여야 한다.

7) 출판예정인 저술을 제시할 때는 출판연도 대신 ‘출판예정’이라고 기재한다. 학위논문이나 미간행 저술은 발표된 연도와 장소를 기재한다.

8) 저자, 연도, 인용문헌 제목 등은 일렬로 표기한다. 한 저자의 문헌 표기가 두 줄 이상일 때, 두 번째 줄부터는 9칸에서 시작한다. 동일 저자의 문헌이 2개 이상일 때, 두 번째 문헌부터는 저자의 이름 부분에 8칸에 해당하는 밑줄을 긋고 연도는 9칸에서부터 시작한다.

9) 단행본은 출판 장소와 출판사가 명기되어야 하나, 잡지는 출판 장소와 출판사를 명기할 필요가 없다. 인터넷 자료의 경우 저자, 작성연도, 제목, 웹주소, 접속일자를 밝힌다. 인터넷 자료의 저자가 기관이나 단체일 경우에는 기관(단체)명, 제목, 웹주소, 접속일자를 밝힌다.

10) 영문 저자 이름은 성과 이름을 모두 표기한다.

11) 번역서는 원저자를 표기하고 괄호 안에 번역자를 병기한다. (하단 예시 참고)

12) 자료는 참고문헌 뒤에 한 줄을 띄우고 <자료>라고 표시하고 기재한다. 단행본 형태의 것은 저술과 마찬가지 형식으로 가나다순으로 먼저 적고 나머지를 기재한다. 한글, 중국어, 일본어, 비한자권 언어 순으로 기재한다.

(예) <참고문헌>

기어츠, 클리퍼드 (이보람 역), 2009,『문화의 해석』, 서울: 까치.

김가람, 2005, “지역 감정과 지역 정치,”『제37차 한국문화인류학회 전국대회 발표
논문집』, pp.28-39.

2009, “지역에 기반한 정체성 형성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대 문화연구소 세미나 발표논문.

김가람·전인류·박찬솔·홍새암 편, 2001,『한국문화의 이해』, 서울: 한국출판사.

김가람·한문인·전인류, 1988, “고향의 의미,”『한국문화인류학』25(1): 100-130.

이한결, 1993a,『고향이미지에 대한 연구』, 서울: 소화출판사.

1993b, “고향이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한국문화인류학』30(2): 31-45.

1993c, “고향의 이미지,” 김가람·전인류·박찬솔·홍새암 편,『한국문화의

이해』, 서울: 한국출판사, pp.110-127.

황세찬, 1999, “민족지적 권위에 대한 연구: 말리노프스키의 ‘일기’를 중심으로,” 한국대 석사학위 논문.

2007, “선물의 하우: 멜라네시아의 쿨라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대 박사학위 논문.

Dirks, Nicholas, Geoff Eley, and Sherry Ortner (eds.), 1993, Culture/Power/History: A Reader in Contemporary Social Theory,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Foucault, Michael, 1986, “Nietzsche, Geneology, History,” in Paul

Rabinow (ed.), The Foucault Reader, New York: Pantheon, pp.76-100.

Geertz, Clifford, 1960, “The Javanese Kijaji: The Changing Role of a Cultural Broker,”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2(2): 228-249.

1963, Peddlers and Princes: So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Change in Two Indonesian Towns,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자료>

통계청, 2012,『2012년도 통계연보』, 서울: 통계청.

『시사저널』, “우리는 인류학 연구방법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가?”(김가람), 2009. 10. 15일자, pp.27-28.

『한겨레』, 2014. 3. 15일자.

New York Times, 2009. 7. 18일자.

전인류, 2010, “한국 인류학의 미래,” http://koantrho.or.kr/article.html (2015. 7. 15. 접속)

한국문화인류학회, “한국문화인류학 집필 요강,” http://www.koanthro.or.kr/introduce/contribution.htm (2015. 7. 15. 접속)